피할 수 있는 참사
2011년 8월 2일 북부 플로리다의 무더운 아침에 미식축구 연습을 마친 뒤, 16살 돈 테리어 J. 서시가 쓰러졌습니다. 몇 시간이 지나서 2학년인 그 수비수는 사망했습니다. 그의 죽음의 원인은 열사병이었습니다. 열사병은 과도한 고온의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거나, 더운 상태에서 육체노동이나 운동을 지속할 때, 뇌의 체온조절중추가 그 기능을 읽게 되어 나타나는 병입니다. 열사병은 전체적으로 일사병이라고 일컬어지는 병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입니다. 당신은 일사병으로 고통받는 10대 운동선수는 드물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약 10,000명의 고교 운동선수들은 매년 열사병으로 힘들어하며, 1995년 이후 40명 이상의 미식축구 고등학생들이 열사병으로 인해 사망했습니다.
심한 운동이나 일할 때, 근육은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고, 그러므로 당신의 전반적인 내부 온도가 올라갑니다. 뇌의 조절 중추는 정상(37도) 근처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반응을 개시하게 됩니다. 땀을 흘리기 시작하며, 땀이 증발하면서 냉각 효과를 나타냅니다. 동시에 피부 표면에 가까운 혈관이 확장되어 체열을 방출합니다. 미식축구 선수들이 입는 패딩은 증발열을 제안하고 체열을 가두게 됩니다.
체온이 지속해서 올라가면, 땀을 많이 흘리게 되고, 피부 표면 근처의 혈관은 최대로 확장됩니다. 이러한 반응들은 혈압을 낮춰서 실신하게 만드는데, 그것이 열탈진의 증상입니다. 이는 냉각시키기 위한 최후의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극한 열탈진 상태에서 체온은 뇌의 체온조절중추를 교란하는 점까지 올라갑니다. 그 결과로 열사병에 걸리게 됩니다. 열사병 동안 신체의 기관은 약화하기 시작하며, 몸이 냉각되지 않고 수분을 공급해주지 않는 한, 서시의 경우와 같이 뇌 손상과 그다음에는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열탈진을 피하려면, 심한 일을 할 때 많은 물을 마시고, 머리가 멍한 느낌이나 메스꺼움 또는 피부가 지나치게 홍조를 띠게 되면 쉬어야 합니다.
애석한 일이었기는 하지만, 서시의 죽음은 위로를 줄 만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것은 일사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었습니다. 그의 고향인 조지아주에서는 훈련 일정과 훈련 시 선수들이 패딩을 입는 시간에 대한 제한을 두도록 하는 정책이 현재 시행되고 있습니다.
조직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본단위입니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에서, 세포는 단독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대신에 집단으로 조직을 형성합니다. 조직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한 세포들의 통합된 집단입니다.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은 특수화되어 있는데, 그것은 특정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물의 조직은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등 분류된다. 각 조직의 구조는 특정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신체의 표면과 기관의 내면을 덮고 있는 조직을 상피조직 또는 상피라고 합니다. 상피의 구조는 어떻게 조직 단계에서 구조가 기능에 적합한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피부는 단단하게 결합되어 연속적인 층을 형성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피세포들의 밀집층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몸을 둘러싸서 통합성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방어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단단하고 층을 이루는 피부의 세포구조와는 대조적으로, 모세혈관의 내면은 투과성이 크고 얇은 한 층의 상피로 되어 있어서, 순환계와 물질을 교환하는 기능에 매우 적합합니다. 우리의 몸은 지속적으로 상피조직의 세포들을 새롭게 만들어 냄으로써, 오래된 세포는 떨어져 나가고 새로운 세포들로 교체가 됩니다. 예를 들면, 소화관과 피부의 세포들은 끊임없이 떨어져나가는데, 세포의 특성에 따라 수일 또는 수주마다 새롭게 교체가 됩니다. 그러한 교체과정은 빠른 세포분열을 필요로 하는데, 세포분열에서 오류의 위험이 증가하여 암을 야기하는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그것은 암 발생의 위험률을 높이는 원인이 됩니다. 다른 체조직과 비교할 때, 상피는 환경과 가장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발암물질이라고 하는 암-유발물질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종류의 암은 약 80%가 상피조직에서 생깁니다. 상피조직의 암을 전체적으로 악성종양이라고 합니다. 가장 흔한 5종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직장암입니다.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다양성 감소의 원인 서식지 파괴, 침입종, 남획, 오염 (0) | 2023.01.25 |
---|---|
생물의 진화적 반응 생리학적 반응과 해부학적 반응 (0) | 2023.01.23 |
미생물 생명의 진화, 생명역사에서 주요한 사건들 (0) | 2023.01.18 |
생물의 다양성은 어떻게 진화하나 대량멸종, 생식적 장벽 (0) | 2023.01.17 |
개체군의 진화, 라마르크와 진화적 적응 (0) | 2023.01.17 |
댓글